카테고리 없음
[Go언어] 가변인수함수
코드베어
2022. 11. 20. 15:40
fmt.Println()과 같이 함수 인수 개수가 고정적이지 않은 함수를 가변 인수 함수라고 한다.
가변 인수 함수는 '...' 키워드를 이용하여 만들 수 있다.
func sum(args ...int) int {
var sum = 0
for _, v := range args {
sum += v
}
println("합계 : ", sum)
return sum
}
func main() {
sum(1, 2, 3, 4, 5, 6)
}
int형 가변 인수를 받는 함수 sum()을 정의하고 int형 변수들을 인수로 넘겨준다.
빈 인터페이스 interface{}를 이용하면 여러타입의 인수를 받을 수 있다. ( 모든 타입은 빈 인터페이스 interface{}를 포함한다.)
func func1(args ...interface{}) {
for _, arg := range args {
switch arg.(type) {
case bool:
fmt.Println("bool형 : ", arg.(bool))
case int:
fmt.Println("int형 : ", arg.(int))
case float64:
fmt.Println("float64형 : ", arg.(float64))
}
}
}
func main() {
func1(true)
func1(9)
func1(1.1)
}
range를 이용해 인수를 돌며 switch arg.(type)을 통해 인수의 타입을 구분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