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«   2025/02   »
1
2 3 4 5 6 7 8
9 10 11 12 13 14 15
16 17 18 19 20 21 22
23 24 25 26 27 28
Archives
Today
Total
관리 메뉴

Code Habit

Linux ) RPM, YUM 개념 정리 본문

카테고리 없음

Linux ) RPM, YUM 개념 정리

코드베어 2020. 4. 24. 20:17

RPM, YUM은 리눅스의 패키지 인스톨 프로그램이라고 보면 된다. 두가지 방식의 차이점은 RPM은 필요한 패키지를 하나하나 각각 설치해야 하는 반면 YUM은 패키지를 받을때 자동으로 연계되는 구성요소들을 알아서 다운 받아서 설치해준다.

 

RPM ( Redhat Package Manager )

windows의 setup.exe와 비슷한 개념으로 프로그램을 설치한 후에 바로 실행할 수 있는 패키지 설치 파일이다. 확장명은 '*.rmp'이며, 이를 패키지라고 부르기도 한다. RPM은 패키지 인스톨을 하기 위해서 그 패키지의 필요 요소를 전부 따로 다운로드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. 그리고 의존성의 문제가 있다.

 

- 명령어 : rmp [옵션] [패키지파일]

 

YUM( Yellowdog Update Manager )

RPM의 의존성 문제를 해결한 설치 프로그램이다. 특정 패키지를 설치할 때 의존성이 있는 다른 패키지들을 인터넷에서 다운 받아 자동으로 설치해주는 지능적인 툴이다.

 

- 명령어 : yum [옵션] [패키지 이름]

  • 'yum install [패키지 이름]' : 패키지 설치
  • 'yum install -y [패키지 이름]' : 패키지 설치, 설치 여부 확인시 무조건 yes.
  • 'yum check-update' : 현재 시스템에 설치된 패키지 중에서 업데이트가 가능한 패키지 목록 출력
  • 'yum update [패키지 이름]' : 패키지 업데이트
  • 'yum remove [패키지 이름]' : 패키지 삭제
  • 'yum --version' : 패키지 버전 확인
  • 'yum info [패키지 이름]' : 설치된 패키지 정보 확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