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Golang
- write
- windows
- mutex
- API
- GO 언어
- Callback
- 리뷰
- Close
- JavaScript
- tcp
- go언어
- window
- 영화
- C
- c++
- 책
- channel
- go
- install
- package
- Python
- File
- http
- Sync
- json
- bitcoin
- FOR
- range
- Linux
Archives
- Today
- Total
Code Habit
윈도우 파괴 ( WM_DESTROY ) 본문
윈도우가 파괴(종료)되기 전에 WM_DESTROY라는 메시지가 전달되는데 이 메시지에 대한 핸들러가 OnDestroy함수이다. 즉 WM_DESTROY 메시지가 해당 윈도우에 전달되면 OnDestroy 함수가 호출된다는 뜻이다.
OnDestroy 함수가 호출되어 수행되는 시점에는 아직 윈도우가 파괴되기 전이기 때문에 해당 윈도우나 해당 윈도우에서 생성한 자식 윈도우 또는 컨트롤을 사용할 수 있다. 따라서 윈도우가 파괴되기 직전에 처리해야 할 작업이 있다면 이 함수에서 작업하면 된다.
WM_DESTROY 메시지를 전달할 때 보통 윈도우 객체의 DestroyWindow() 함수를 호출 하면 된다. DestroyWindow 함수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동작한다.
- 파괴되는 윈도우에게 WM_DESTROY, WM_NCDESTROY 메시지를 보낸다. 윈도우 프로시저에서 이 메시지를 받았을 때 자원을 해제하는 등의 종료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.
- 키보드 포커스를 제거한다.
- 윈도우의 메뉴를 파괴한다.
- 스레드의 메시지 큐를 비운다.
- 타이머를 파괴한다.
- 클립보드의 소유권을 제거한다.
- 파괴되는 윈도우의 자식 윈도우와 소유 윈도우들을 차례대로 파괴한 후, (본인) 윈도우를 파괴한다.
즉, DestroyWindow는 정상적인 윈도우 파괴 및 종료를 수행하는 함수이므로, 일반적인 윈도우 종료의 상황에서는 DestroyWindow를 사용해야 한다.